거울의 작동을 위해 양자 역학을 신뢰해야합니까?

Aug 20 2020

이 비디오 에서는 광자 가 반사 법칙을 따를 필요가 없으며 각 광자가 소위 블랙홀 수신기에 도달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경로를 취할 수 있으며 모든 경로는 그림과 같이 특정 확률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그렇다면이 그림과 같이 거울 앞에 설 때 방의 특정 영역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방의 구석도 같은 위치에 서있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그러나 그것들을보기 위해서는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머리를 움직여야합니다.

수학이 확률이 존재한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그것을 관찰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결코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확률은 0이 아니어야 하는가?

편집 1 : 가능합니까 아니면 우리가 효과를 보는 현상이 있습니까 (질문에서 제기 됨) 즉 광자의 경로가 0으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0이 아닌 확률이 있습니까? 어떻게 생겼을까 요 ??

편집 2 : 위에서 언급 한 효과가 곡면 거울로 가능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까 (구면 거울의 각 부분을 평면 거울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

답변

3 SuperfastJellyfish Aug 20 2020 at 20:01

가능합니까 아니면 우리가 효과를 보는 현상이 있습니까? (질문에서 제기 됨) 즉 광자의 경로가 0을 방해하지 않는 확률이 0이 아닌가? 어떻게 생겼을까 요 ??

예, 이것을 확인하는 실험이 있습니다. 좋은 감지기를 사용하면 거울의 가장자리가 가려지면 감지기의 광자 수가 영향을 받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로가 잘리는 것을 나타냅니다.

빛이 모든 경로를 통과하는지 확인하는보다 직접적인 방법은 일부 부품이 반사되지 않도록 거울의 반사율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변경 중 하나는 높고 낮은 반사의 대체 패턴을 만드는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반사 격자를 만듭니다.

이 패턴 화 된 경로 차단의 결과는 회절 패턴이 검출기에 나타납니다. 효과가 모든 경로에 누적됨을 나타냅니다.

1 A.Jahin Aug 20 2020 at 12:48

양자 역학에서 우리는 확률이 아닌 진폭을 직접 다룹니다. 진폭은 복소수이고 확률은 이러한 진폭의 제곱입니다. 첫 번째 그림이 말하는 것은 광원 (A라고 부름)과 관찰자 사이의 모든 경로가 0이 아닌 진폭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입니다. 그러나 진폭에 관한 것은 그들이 간섭한다는 것입니다. 광자가 특정 경로를 취하는 진폭을 호출 해 보겠습니다.$a[x(t)]$, 어디 $x(t)$그것이 움직이는 경로입니다. 그런 다음 점 A를 떠나 B에 도달하는 광자의 진폭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K(B,A) = \text{sum of $a [x (t)]$ over all paths between A and B }$$ 이 합계에서 비록 $|a[x(t)]|$모든 경로에 대해 동일 할 수 있으며 추가하면 0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같은 방식으로$|-1| = |1|$$1-1 = 0$. 그렇기 때문에 거울 속의 특정 사물 만보고 다른 사물은 보지 못합니다. 보이지 않는 물체의 경우 모든 가능한 경로의 진폭을 합산하면 0이됩니다. 광자가 A를 떠나 B에 도달 할 확률을 계산할 때$K(B,A)$, 그래서 $K(B,A)$ 0이면 확률은 0입니다.